카테고리 없음

알고리즘 파이썬 49-50

whateveryouwish 2024. 8. 16. 21:16

49번

 

문제 설명
정수 배열 numbers가 주어집니다.
numbers에서 서로 다른 인덱스에 있는 두 개의 수를 뽑아
더해서 만들 수 있는 모든 수를 배열에 오름차순으로 담아
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제한사항
numbers의 길이는 2 이상 100 이하입니다.
numbers의 모든 수는 0 이상 100 이하입니다.
def solution(numbers):
    answer = []
    for i in range(len(numbers)):
        for j in range(len(numbers)):
            if j != i :
                answer.append(numbers[i] + numbers[j])
    answer.sort()
    real_answer = list(set(answer))
    rreal_answer = sorted(real_answer)
    return rreal_answer

 

set 자료구조로 변환을 통해 중복을 제거하고 다시 리스트로 만들어 반환하는 함수

하지만 문제를 다 풀고 다른 분들의 풀이를 참고하다보니 신기한 것들이 꽤나 있다.


set을 통해 중복 제거하기

 

set은 중복된 요소를 허용하지 않는 데이터 구조입니다. 예를 들어, 리스트에서 중복을 제거하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:

 
# 리스트 정의
my_list = [1, 2, 2, 3, 4, 4, 5]

# set을 사용하여 중복 제거
unique_list = list(set(my_list))

print(unique_list)  # 출력: [1, 2, 3, 4, 5]

 

 

sorted() 함수

 

sorted() 함수는 파이썬에서 iterable(반복 가능한 객체)을 정렬하여 새로운 리스트를 반환하는 내장 함수입니다. 이 함수는 원본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고, 정렬된 결과를 담은 새로운 리스트를 만듭니다.

기본 사용법

 
sorted(iterable, key=None, reverse=False)
  • iterable: 정렬할 대상(리스트, 튜플, 문자열 등).
  • key: 정렬 기준을 지정하는 함수. 이 함수는 iterable의 각 요소에 적용되어 정렬 기준이 되는 값을 반환합니다.
  • reverse: True로 설정하면 내림차순으로 정렬합니다. 기본값은 False로 오름차순 정렬입니다.

예시

  1. 리스트 정렬
     
    my_list = [5, 2, 9, 1, 5, 6]
    sorted_list = sorted(my_list)
    print(sorted_list)  # 출력: [1, 2, 5, 5, 6, 9]
    print(my_list)      # 원본 리스트는 변경되지 않음
    
  2. 내림차순 정렬
     
    my_list = [5, 2, 9, 1, 5, 6]
    sorted_list = sorted(my_list, reverse=True)
    print(sorted_list)  # 출력: [9, 6, 5, 5, 2, 1]
    
  3. 문자열 정렬
     
    my_string = "python"
    sorted_string = sorted(my_string)
    print(sorted_string)  # 출력: ['h', 'n', 'o', 'p', 't', 'y']
    
  4. key를 사용한 정렬
     
    my_list = ['apple', 'banana', 'cherry', 'date']
    sorted_list = sorted(my_list, key=len)  # 길이를 기준으로 정렬
    print(sorted_list)  # 출력: ['apple', 'date', 'banana', 'cherry']
    

요약

sorted() 함수는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정렬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, 원본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정렬된 결과를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. key와 reverse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보다 유연한 정렬이 가능합니다.

 

즉, 정렬된 리스트로 반환하기 때문에 굳이 list(set() 이 과정이 불필요하다는 것!

또한 원본 데이터는 변환되지 않기에 만약 해당 함수를 써서 리스트를 저장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면 지정해줘야한다는 것.

 

따라서 효율화한 코드는 이렇다.

 

def solution(numbers):
    answer = []
    for i in range(len(numbers)):
        for j in range(len(numbers)):
            if j != i :
                answer.append(numbers[i] + numbers[j])
    return sorted(set(answer))

 

 


 

50번

 

문제 설명

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, s의 각 위치마다 자신보다 앞에 나왔으면서,
자신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같은 글자가 어디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.
예를 들어, s="banana"라고 할 때, 
각 글자들을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읽어 나가면서 다음과 같이 진행할 수 있습니다.

b는 처음 나왔기 때문에 자신의 앞에 같은 글자가 없습니다. 이는 -1로 표현합니다.
a는 처음 나왔기 때문에 자신의 앞에 같은 글자가 없습니다. 이는 -1로 표현합니다.
n은 처음 나왔기 때문에 자신의 앞에 같은 글자가 없습니다. 이는 -1로 표현합니다.
a는 자신보다 두 칸 앞에 a가 있습니다. 이는 2로 표현합니다.
n도 자신보다 두 칸 앞에 n이 있습니다. 이는 2로 표현합니다.
a는 자신보다 두 칸, 네 칸 앞에 a가 있습니다. 이 중 가까운 것은 두 칸 앞이고, 이는 2로 표현합니다.
따라서 최종 결과물은 [-1, -1, -1, 2, 2, 2]가 됩니다.

문자열 s이 주어질 때, 위와 같이 정의된 연산을 수행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.

제한사항

1 ≤ s의 길이 ≤ 10,000
s은 영어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
 

으레 그래왔듯이 리스트로 풀어보려고 했다.

하지만 원하는 대로 i, j 순서가 진행되지 않는다. i가 0일 때 j가 range(0, 6) 이런 식으로 진행되니 원하는 답을 얻을 수가 없다.

break를 써서 하려고 해도 원하는 대로 되지 않는다.

뭔가 풀릴 것 같으면서도 잘 안풀려서 결국 뤼튼에 물어봤다.

딕셔너리로 푸는 방법을 알려줬다.

 

def solution(s):
    answer = []
    last_seen = {}  # 마지막으로 본 인덱스를 저장하는 딕셔너리

    for i in range(len(s)):
        if s[i] in last_seen:
            answer.append(i - last_seen[s[i]])  # 현재 인덱스와 마지막 인덱스의 차이
        else:
            answer.append(-1)  # 처음 등장하는 문자
        last_seen[s[i]] = i  # 현재 문자의 인덱스 업데이트

    return answer

 

last_seen 이라는 딕셔너리를 만들어서

 

s 문자열의 길이만큼 순회하는 for 문에서

 

처음 등장하는 문자가 있다면 else: 문의 answer.append(-1)가 실행된다. 그리고 last_seen 딕셔너리에 s[i]라는 문자의 인덱스로 저장한다.

 

s[i]가 이미 본 문자가 저장된 last_seen 딕셔너리 안에 있으면 현재 인덱스와 마지막 인덱스의 차이, 즉 i - last_seen[s[i]])를 answer 리스트에 저장한다.


뤼튼 풀이 해석

 

아래는 주어진 solution 함수의 각 줄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.

 
def solution(s):
  • 함수 정의: solution이라는 이름의 함수를 정의합니다. 이 함수는 문자열 s를 입력으로 받습니다.
 
    answer = []
  • 리스트 초기화: 결과를 저장할 빈 리스트 answer를 초기화합니다. 이 리스트는 각 문자에 대해 가장 가까운 같은 문자의 인덱스 차이를 저장하게 됩니다.
 
    last_seen = {}  # 마지막으로 본 인덱스를 저장하는 딕셔너리
  • 딕셔너리 초기화: 각 문자의 마지막 인덱스를 저장할 빈 딕셔너리 last_seen을 초기화합니다. 이 딕셔너리는 문자를 키로 하고, 해당 문자가 마지막으로 나타난 인덱스를 값으로 가집니다.
 
    for i in range(len(s)):
  • 반복문 시작: 문자열 s의 길이만큼 반복하는 for 루프를 시작합니다. i는 현재 문자의 인덱스를 나타냅니다.
 
        if s[i] in last_seen:
  • 조건문: 현재 문자가 last_seen 딕셔너리에 존재하는지 확인합니다. 즉, 이전에 이 문자가 등장한 적이 있는지를 체크합니다.
 
            answer.append(i - last_seen[s[i]])  # 현재 인덱스와 마지막 인덱스의 차이
  • 거리 계산: 만약 현재 문자가 이전에 등장한 적이 있다면, 현재 인덱스 i와 마지막으로 등장한 인덱스 last_seen[s[i]]의 차이를 계산하여 answer 리스트에 추가합니다. 이 값은 현재 문자와 가장 가까운 같은 문자의 거리입니다.
 
        else:
            answer.append(-1)  # 처음 등장하는 문자
  • 처음 등장 처리: 현재 문자가 last_seen에 없다면, 이는 처음 등장하는 문자임을 의미하므로 -1을 answer 리스트에 추가합니다.
 
        last_seen[s[i]] = i  # 현재 문자의 인덱스 업데이트
  • 인덱스 업데이트: 현재 문자의 인덱스를 last_seen 딕셔너리에 저장합니다. 이는 다음 번에 이 문자가 등장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.
 
    return answer
  • 결과 반환: answer 리스트를 반환합니다. 이 리스트는 각 문자에 대해 가장 가까운 같은 문자의 인덱스 차이 또는 -1을 포함하고 있습니다.

요약

이 함수는 문자열을 순회하면서 각 문자의 마지막 위치를 기록하고, 이를 통해 같은 문자가 이전에 등장했는지를 확인하고 그와의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합니다. 이 과정에서 answer 리스트에 결과를 저장하여 최종적으로 반환합니다.

 


 

딕셔너리라는 자료 구조를 활용하면 쉽게 풀리는 문제지만,

리스트로 풀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것 같은 찝찝함에 문제를 계속 붙잡고 있었다.

 

https://dduniverse.tistory.com/entry/%ED%94%84%EB%A1%9C%EA%B7%B8%EB%9E%98%EB%A8%B8%EC%8A%A4-%EA%B0%80%EC%9E%A5-%EA%B0%80%EA%B9%8C%EC%9A%B4-%EA%B0%99%EC%9D%80-%EA%B8%80%EC%9E%90-%ED%8C%8C%EC%9D%B4%EC%8D%AC-python

 

프로그래머스 | 가장 가까운 같은 글자 [파이썬 python]

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코드 def

dduniverse.tistory.com

 

 

def solution(s):
    answer = []
    for i in range(len(s)):
        if s[i] in s[0:i]:
            answer.append(i - s[0:i].rindex(s[i]))
        else:
            answer.append(-1)
    return answer

 

 

정리된 코드

 
def solution(s):
    answer = []  # 결과를 저장할 리스트 초기화
    for i in range(len(s)):  # 문자열 s의 각 인덱스에 대해 반복
        if s[i] in s[0:i]:  # 현재 문자가 앞에 있는지 확인
            # 현재 인덱스와 가장 가까운 같은 문자의 인덱스 차이를 계산하여 추가
            answer.append(i - s[0:i].rindex(s[i]))
        else:
            answer.append(-1)  # 같은 문자가 없으면 -1 추가
    return answer  # 결과 리스트 반환

코드 설명

  1. 함수 정의: solution(s) 함수는 문자열 s를 입력으로 받습니다.
  2. 결과 리스트 초기화: answer라는 빈 리스트를 생성하여 각 문자의 결과를 저장합니다.
  3. 반복문: for i in range(len(s)):를 통해 문자열의 각 인덱스 i에 대해 반복합니다.
  4. 조건문:
    • if s[i] in s[0:i]:: 현재 문자 s[i]가 그 이전 문자들(s[0:i])에 존재하는지 확인합니다.
    • 만약 존재한다면, answer.append(i - s[0:i].rindex(s[i]))를 통해 현재 인덱스 i와 같은 문자의 가장 최근 인덱스(rindex로 찾음) 간의 차이를 계산하여 answer에 추가합니다.
  5. 같은 문자가 없는 경우: 만약 현재 문자가 앞에 없다면, answer.append(-1)을 통해 -1을 추가합니다.
  6. 결과 반환: 최종적으로 answer를 반환합니다.

 

해당 코드를 통해 rindex를 배울 수 있었다. 'index()는 앞에서부터 인덱스를 구하는 반면, rindex()는 뒤에서부터 인덱스를 구해준다.

우리는 현재 문자열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문자열의 위치를 알아야 하므로 rindex()를 사용하는 것이다.'